• 본문 바로가기
  • 하위 메뉴 바로가기
  • 글자크기
  • 글자확대
  • 글자축소
HOME | 피부질환 | 약물정보 | 의료기정보 | 온라인상담 | 온라인예약
로고
  • ● 습진
  • ● 두드러기
  • ● 홍반
  • ● 약진
  • ● 소양증
  • ● 구진 인설성 질환
  • ● 피부 및 심재성 진균증
  • ● 세균 감염성 질환
  • ● 리켓치아
  • ● 바이러스성 피부질환
  • ● 성인성 질환
  • ● 동물 기생충성 피부질환
  • ● 피부결핵
  • ● 과색소질환
  • ● 탈색소질환
  • ● 일광관련 피부질환
  • ● 화상 동상
  • ● 티눈
  • ● 신생아 피부질환
  • ● 결핍성 질환 및 대사이상
  • ● 내과질환연관 피부질환
  • ● 유전성 피부질환
  • ● 수포성 질환
  • ● 결합조직질환
  • ● 피지선 질환
  • ● 한선의 질환
  • ● 피하지방의 질환
  • ● 조갑의 질환
  • ● 조갑 이영양증
  • ● 모발질환
  • ● 점막질환
  • ● 표피 및 부속기의 모반과 종양
  • ● 피부 전구암 피부암
  • ● 멜라닌세포에서 유래한 모반 및 신생물
  • ● 악성흑색종
  • ● 진피 종양
  • ● 혈관관련 모반 및 종양
  • ● 피하지방 및 신경관련 종양
  • ● 림프망상계 종양
  • ● 농가진, Impetigo
  • ● 모낭염 folliculitis
  • ● 절종 및 옹종, Furuncle and carbuncle
  • ● 봉소염, Cellulitis
  • ● 단독, Erysipelas
  • ● 액와 모발진균증, Trichomycosis axillaris
  • ● 소와 각질융해증, Pitted keratolysis
  • ● Vibrio vulnificus 감염증, Vibrio vulnificus infection
  • ● 녹농균 감염증, Pseudomonas infections
  • ● 홍색음선, Erythrasma
  • ● 포도구균성 열상 피부 증후군,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, SSSS
  • ● 독성 쇽 증후군, Toxic shock syndrome
  • ● 성홍열, Scarlet fever
  • ● lime disease
성홍열, Scarlet fever



정의>
연쇄 구균성 인두염 동안에 발생하는 전신의 홍반성 발진


원인 및 발병기전>
Group A β-hemolytic streptococcus에서 생산하는 erythrogenic toxin에 의하며, 대부분 인두염과 관련지어 발생하나 피부감염, 화상, 수술 후 감염, 산욕기 패혈증 때도 발생할 수 있다.

증상>
주로 2-10세 어린이에게 발열, 두통, 인후통, 구토 등의 증상이 있은 후 1-2일 후 발진이 시작된다.
편도선은 빨갛게 붓고 삼출물로 덮여있다.
혀는 초기에는 빨갛게 커진 유두를 하얀 막이 덮고 있으나 4-5일 후 피막이 벗겨지며 선홍색을 띠어 딸기처럼 보이게 된다.
점상 홍반이나 출혈반이 경구개와 연구개에 보인다.
피부 발진은 목에서 시작하여 몸통과 사지로 퍼져나가며 손, 발바닥은 침범하지 않는다.
전신에 림프절 종대가 나타나며 7-10일 사이에 홍반은 퇴조하고 얼굴에서부터 낙설이 시작되어 몸통과 사지로 진행해간다.

진단 및 감별진단>
특징적인 임상과 초기에 인두에서 직접 세균 배양하여 group A 연쇄구균을 확인한다.
ASO titer 측정과 초기에 백혈구 증다증을 보인다.
풍진, 유아 장미진, 약진, 포도구균성 성홍열, 전염성 단핵구증, Kawasaki 병과의 감별을 요한다.

치료>
Penicillin, erythromycin, cephalosporins, cloxacilline을 10일 정도 투여한다.



청담오라클피부과의원
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612 한일빌딩 1층
연락처 1800-7588
1577-1175(가까운 오라클피부과로 연결됩니다)
Copyright ⓒ OracleClinic Corp. All Rights Reserved.